제품을 만든다는 건, 단지 만드는 게 아니라 ‘돈이 되는 구조’를 설계하는 일입니다.
1인 제조 창업에서는 제품이 잘 팔리는 것보다, 얼마나 이익이 남는지를 아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.
원가 계산이 되지 않으면, 제품은 열심히 만들었는데도 결국 손해를 보게 됩니다.
또한 적절한 판매가를 정할 수 없고, 할인이나 이벤트 진행 시에도 손익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.
수익성 분석은 단지 숫자를 맞추는 작업이 아니라, 운영의 방향과 마케팅 전략까지 연결되는 핵심 작업입니다.
제품 하나 기준으로 원가 계산하는 방법
예시: 수제 비누 한 개(100g) 기준 원가 계산
재료비 | 오일, 첨가물, 에센스, 포장재 등 | 1,200 |
소모품 | 장갑, 종이컵, 라벨지 등 | 150 |
생산 비용 | 전기세, 물 사용량 등 (계산된 평균) | 100 |
인건비 (자기 시간당 환산) | 1개 생산 시 투입 시간 10분 | 600 |
기타 고정비 | 장비 감가상각, 창고 공간 월세 등 1개당 환산 | 150 |
총 원가 2,200원
판매가는 일반적으로 총원가의 2.5배 ~ 3배 기준으로 설정을 합니다. 그러면 판매가는 5,500원 ~ 6,600원이 됩니다.
수익성 분석: 단순히 남는 돈만 계산하지 말 것
실제로 한 달에 수제 비누 200개를 판매한다고 가정해 보면,
- 총매출: 5,500원 × 200개 = 1,100,000원
- 총 원가: 2,200원 × 200개 = 440,000원
- 예상 이익: 660,000원
하지만 여기에는 반드시 빠지지 말아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:
- 광고비 (스마트스토어, 인스타 홍보 등): 약 10만 원
- 배송비: 기본 3,000원 × 200건 = 60만 원 (고객 부담 여부에 따라 상이)
- 플랫폼 수수료: 네이버페이 기준 약 3%
- 반품/교환 발생률: 3% 예비 반영
이런 항목들을 포함해 실수익을 다시 계산해야 정확한 수익성을 알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수익성은 '내가 직접 계산하지 않으면 절대 체감할 수 없는 영역'입니다.
원가 계산에 도움이 되는 도구 소개
초기에는 복잡한 회계 프로그램보다는 직관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구글 스프레드시트 or 엑셀
: 재료비/수량/환산 단가를 자동 계산하는 틀을 만들어 반복 사용 가능 - Notion
: 제품별 작업 공정, 시간 기록, 원가 일지 등 자유롭게 메모하면서 기록 - 원가 계산 템플릿 무료 자료 (공유사이트)
: 네이버 블로그나 스마트스토어 카페에 있는 실전 템플릿도 참고하면 좋습니다.
중요한 건 한 번만 계산하고 끝내지 않는 것입니다.
시장 상황이나 재료 단가가 바뀌면, 수익성도 바뀌기 때문입니다.
따라서 월 1회는 정기적으로 원가표를 점검하고, 단가 상승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안정적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.
수익성 높은 제품의 조건은 따로 있다
무조건 비싸게 파는 제품이 수익성이 높은 건 아닙니다.
예를 들어 1만 원에 팔지만 재료비가 6,000원인 제품보다,
5천 원에 팔아도 재료비가 1,000원인 제품이 훨씬 수익성이 좋을 수 있습니다.
여기에 제작 시간, 포장 난이도, 고객 응대 소요 시간까지 고려해야
실제 ‘운영 효율성’이 높은 제품을 고를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‘말린 과일칩’을 판매하던 창업자 A 씨는, 과일 가격 등락에 따라 수익성이 심하게 변동되는 걸 경험하고
‘유통기한이 길고, 재료 단가가 일정한’ 수제 티백으로 제품군을 바꿨습니다.
이후 반품률도 낮아지고, 작업 시간도 줄어들며 실제 순이익은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.
수익성 분석은 단지 수치 계산이 아니라, 브랜드 전략 전체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
마무리 – 숫자를 이해하는 순간, 사업이 보이기 시작한다
처음엔 귀찮아 보이던 원가 계산도, 한 번 해보면 사업 전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.
내가 만든 제품이 ‘얼마짜리인지’ 정확히 아는 사람만이, 제대로 된 마케팅 전략도 세울 수 있습니다.
수치에 약하다고 피하지 말고, 한 번만 계산해서 눈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시작입니다.
초기부터 원가표와 수익표를 정리해 두면, 외주 맡길 때나 확장할 때도 흔들림 없는 운영이 가능합니다.
'1인 창업시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인 제조업 등록 안 하면 불법일까? (0) | 2025.07.21 |
---|---|
알리바바 수입보다 직접 제조가 나은 이유 (0) | 2025.07.20 |
쿠팡 판매용 제품 직접 만들기 - 브랜드 없이도 시작할 수 있는, 내가 만든 상품으로 온라인 진출하기 (0) | 2025.07.19 |
고객 피드백을 정리하는 데이터 분석 도구 사용법 (0) | 2025.07.18 |
작업공간 마련하기: 자택 작업실, 셰어팩토리, 소형 임대공장 (1) | 2025.07.16 |
‘1인 제조’는 정말 혼자만의 일일까?: 외주 전략 노하우 (1) | 2025.07.16 |
생산부터 CS까지 혼자 운영하는 시스템 만들기 (0) | 2025.07.15 |
초기 고객 확보법: 타겟 고객 50명 만드는 법 (1) | 2025.07.15 |